top of page

[비에스타 교수]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시민·교육·학교의 역할과 접근

안녕하세요! 별의친구들입니다.

힘찬 하반기를 시작하며, 다시금 본질로 돌아가

민주시민 교육과 학교의 역할에 대해

비에스타 교수님과 함께 글을 통해 대화해보고자 합니다.


* 거트 비에스타: 런던 브루넬 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 이 글은 2019년 6월 22일 서울, 인천, 경기, 강원 4개 지역 교육청이 공동 주최한

 '학교민주시민교육 국제포럼'에서 거트 비에스타 교수의 강의를

김현수 교수가 녹취하여 정리하고 일부 김현수 교수의 견해가 추가되어

 강조해 정리한 부분도 있음을 밝힙니다.

강연 맛보기

  • 학교는 민주시민교육의 장이며, 민주주의자들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길러지는 것이다( Parker, 1996)

  • 민주적 시민성이란 실제로 무엇을 포함하는 것이며 학교는 어떤 방법으로 그 역할을 다할 수 있는가?

1) 민주주의인 것과 민주주의가 아닌 것을 분별한다.

2) 현재의 민주적 시민성과 논의와 한계를 분별한다.

3) 이 분별의 현실 위에서 교육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인식한다.

  • 민주주의는 다른 사람의 자유에 대한 인식과 자기제한을 요구하는데 민주주의 개념을 아동과 청소년들이 성숙한 방식으로 세계 속에 존재하도록 이들 안의 욕망을 일깨우는 교육적 과업과 연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 교육이란 무엇인가 그리고 세계 속에 존재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성숙한 방식으로 존재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교육을 통해 세계와 만나는 방식들, 그리고 학교의 역할들을 알아보자.

다운받기 아래 클릭



 
 
 

Comments


추천 게시물
잠시 후 다시 확인해주세요.
게시물이 게시되면 여기에 표시됩니다.
최근 게시물
보관
태그 검색
공식 SNS 페이지
  • Facebook Basic Square
  • Twitter Basic Square
  • Google+ Basic Square

Contact

Tel. 02-876-9366

E-mail. starcollege@fos.or.kr

Address. 07222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로54길 13, 1~5층

유튜브 아이콘
네이버 블로그 아이콘
bottom of page